리비 (베트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비는 6세기 초 베트남에서 일어난 반란의 지도자이자, 베트남 최초의 독립 왕조인 전 리 왕조를 건국한 인물이다. 중국 난민의 후손으로, 남조 양의 가혹한 통치에 반기를 들고 541년 거병하여 교주를 장악했다. 544년에는 남월 제를 칭하고 국호를 만춘으로 하여 리남제라는 칭호를 얻었다. 이후 양나라의 침공으로 세력이 약화되어 사망했으나, 그의 사후에도 저항은 이어져 전 리 왕조는 독립을 회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48년 사망 - 진도담
진도담은 남조 진나라의 초대 황제 진패선의 아들이며, 양나라 시기 동궁직합장군으로 후경의 난 때 전사 후 추존되었고, 그의 부인 조씨는 진도 지역 사회에 공헌했다. - 548년 사망 - 테오도라
6세기 동로마 제국 황후 테오도라는 낮은 신분에도 불구하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니카의 반란 진압을 이끌고 여성 인권 신장과 사회적 약자 보호 정책을 추진하는 데 기여했다. - 6세기 베트남의 군주 - 리티엔바오
리티엔바오는 리비의 형제로, 리비 사후 다오랑브엉을 칭하며 왕위에 올랐으나 진패선에게 패배하고, 후경의 난 이후 용편을 다시 점령했지만 555년에 사망한 전 리 왕조의 중요 인물이다. - 6세기 베트남의 군주 - 찌에우꽝푹
찌에우꽝푹은 6세기 베트남에서 리남데의 반란에 참여하여 그의 사후 게릴라전을 통해 양나라에 저항했지만, 내전으로 국토가 분열되고 리 팟 쯔에게 패배하여 자결한 인물이다. - 503년 출생 - 진패선
진패선은 남조 양나라의 장군으로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진나라를 건국한 초대 황제이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국가 기틀을 다지고 북제의 침공을 막아내는 등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 503년 출생 - 양 간문제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던 양 간문제 소강은 궁정 문학을 장려하여 궁체시를 확립했으나, 후경의 난으로 즉위 후 실권 없이 폐위되어 살해당한 양나라의 황제이다.
리비 (베트남)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Vạn Xuân 황제 |
다른 칭호 | Yuè 황제 |
재위 기간 | 544년–548년 |
계승 순서 | Vạn Xuân 황제 |
후계자 | Triệu Việt Vương |
배우자 | Hứa Trinh Hòa |
배우자 유형 | 황후 |
본명 | Lý Bôn (李賁) (Lý Bí로도 표기) |
연호 | Thiên Đức (天德) |
연호 기간 | 544년–548년 |
시호 | 남월 효고황제 (南越孝高皇帝) |
묘호 | 알 수 없음 |
가문 | Lý |
왕조 | 초기 Lý |
아버지 | Lý Cạnh |
어머니 | Lê Thị Oánh |
출생일 | 503년 10월 17일 |
출생지 | Phổ Yên, Thái Nguyên, Liang 중국 |
사망일 | 548년 4월 13일 |
사망지 | Tam Nông, Phú Thọ, Vạn Xuân |
묻힌 곳 | 알 수 없음 |
2. 생애
5세기 전 전한 말기 왕망의 정권 탈취로 인한 혼란을 피해 도망친 중국인난민을 먼 조상으로 하는 지방 귀족 가문 출신이다.[4][5][6][7][8][9] 롱흥현(현재의 타이빈 성) 출신으로, 리족이다. 당시 남조 양의 교주자사 소자는 가혹한 통치를 하여 민심이 이반되었고, 대동 7년 (541년) 12월, 리 본은 교주의 인사를 모아 거병하여 소자를 광주로 도망치게 했다. 대동 8년 봄, 리 본 등은 교주의 치소인 롱비엔(현재의 박닌 성)을 점령하여 근거지로 삼았다. 그 후, 남조 양의 지배하에 있던 교주와 덕주 (현재의 베트남 북부)를 거의 제압했다.
대동 9년 4월, 참파가 리 본을 공격했지만, 부하 팜 투가 덕주에서 이를 격파했다.
대동 10년 1월, 리 본은 "남월 제"를 칭하고, 천덕으로 개원하고, 국호를 "만춘"으로 했다. '''리남제''' (Lý Nam Đếvi)라는 칭호는 여기서 유래했다.
천덕 2년 5월, 남조 양의 교주 자사 양표, 교주 사마 진패선, 정주 자사 소발 등의 군대가 쭈즈현과 소력강의 하구에 전개하여 리 본을 격파했다. 양나라 군대에 포위된 리 본은 가녕성으로 물러났다. 천덕 3년 1월, 양나라 군대가 가녕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자, 리 본은 굴료동의 소수 민족에게 도망쳤다. 9월, 리 본은 2만 명을 이끌고 전철호 일대에 주둔하며 전함을 제조했지만, 진패선이 지휘하는 부대의 야습을 받아 패주하여 다시 굴료동으로 도망쳤다.
천덕 5년에 리 본이 사망하자, 형 리 톈바오가 잔당 2만 명을 모아 꾸우진 군에 이르러, 남조 양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덕주로 진격하여 북상하여 아이주를 포위했지만, 진패선의 군대에 격파되었다.
대보 원년, 남조 양이 후징의 난으로 혼란에 빠지자 진패선의 군대는 북상하고, 교주 인근에 군사적 공백이 생겼기 때문에, 전 리 왕조는 북베트남에서 세력을 회복할 수 있었다. 승성 4년에 리 톈바오가 병사하자, 리 본의 부하 조광복과 리 불자가 북베트남을 분할 통치했다. 태건 3년에 조광복이 사망하자, 리 불자가 북베트남을 통일하여 전 리 왕조의 세력을 회복했다. 인수 2년, 전 리 왕조는 수의 공격으로 멸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양나라에 대한 봉기
리 본(李賁, 때로는 리 비(Lý Bí)로 표기됨)은 5세기 전한과 후한 왕조 사이의 과도기에 왕망의 권력 찬탈로 인해 도망친 중국인 난민의 후손인 지방 귀족이었다.[2][3] 그는 현대 북부 베트남의 자오쩌우에서 양나라의 지역 치안 판사였다.이 기간 동안 중국은 남북조 시대의 내전을 겪고 있었다. 리 비는 양나라 정부의 부패와 지역 주민에 대한 적대감에 점점 더 좌절했다. 그의 친구 팜 투는 그가 소규모 군대를 훈련하는 것을 도왔다. 그 후 리 비는 541년에 양나라에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홍강 계곡 내의 지역 귀족과 부족을 모아 군대를 구성하고, 543년 여름 허푸에서 양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여 북부 베트남 지역에서 양나라 세력을 몰아냈다.[4][5][6][7][8][9] 그는 롱흥현(현재의 타이빈 성) 출신 리족이었다. 당시 남조 양의 교주자사소자 (파양왕 소회의 아들)는 가혹한 통치를 하여 민심이 이반되었고, 리 본은 대동 7년 (541년) 12월에 교주의 인사를 모아 거병하여 소자를 광주로 도망치게 했다.
2. 2. 반쑤언 국(Vạn Xuân) 건국과 통치
544년 2월, 리 본은 스스로 황제(리 남 데, Lý Nam Đế)를 칭하고, 국호를 '반쑤언'(萬春, 영원한 봄)으로 정하며 독립 왕조를 수립했다.[2][3] 이는 중국 황제와 대등한 지위를 표방한 것이었다.[2][3] 리 남 데는 수도를 롱비엔(현재의 하노이)에 정했다. 그는 팜 투, 찌에우 툭, 띤 티에우, 찌에우 꽝 푹 등 유능한 인재들을 등용하여 국가 기틀을 다졌다. 특히 찌에우 꽝 푹은 훗날 리 남 데의 뒤를 이어 전 리 왕조를 이끌게 된다.2. 3. 양나라의 재침과 리 남 데의 죽음

544년 10월, 양나라는 교주(현재의 베트남 북부)를 되찾기 위해 진 박선이 이끄는 군대를 보냈다.[4] 545년 봄, 진 박선은 교주의 여러 지역을 공격했다. 리 남 데의 군대는 초기에 이 공격을 막아냈으나, 545년 겨울, 진 박선은 우기(雨期)를 틈타 수도 롱비엔을 기습했다. 리 남 데의 군대는 기습에 패배했고, 조정은 롱비엔을 포기하고 서쪽 고원 지대로 후퇴해야 했다.[4]
리 남 데의 군대는 지쳐갔고, 리 남 데 자신도 병에 걸려 더 이상 저항을 이끌기 어렵게 되었다. 548년 2월, 리 남 데는 황제의 권한을 그의 형 리 티엔 바오와 부관이자 장군이었던 찌에우 꽝 푹에게 넘겼다.[4]
548년 4월, 리 남 데는 홍강과 흑강 사이의 베트남 북서부 지역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일설에는 지역 부족민에게 암살당했다고도 한다.[4]
3. 전 리 왕조
리 남 데(Lý Nam Đế)는 롱비엔(Long Biên, 현재의 하노이)에 수도를 건설하고, 군사 및 행정 분야의 유능한 학자들을 등용했다. 또한 팜 투, Triệu Túc, Tinh Thiều, 그리고 찌에우 꽝 푹 (Triệu Túc의 아들, 이후 Triệu Việt Vương으로 알려짐)과 같은 유명한 군사 지휘관들의 지원을 받았다.[4] 찌에우 꽝 푹은 훗날 베트남 역사에서 영웅으로 548년에 리 남 데의 뒤를 이어 통치자가 되었다. 리 남 데는 북쪽의 한(漢)나라와 남쪽의 참파 왕국으로부터의 잠재적 위협을 막기 위해 반 쑤언(Vạn Xuân) 전역의 전략적 요충지에 많은 요새를 건설했다.[5] 그는 또한 학자들을 위한 최초의 국립 대학교를 설립하고 토지 개혁을 실시했으며, 국민들의 문맹 퇴치를 장려하는등 중국의 사회 구조를 본뜬 많은 개혁의 기반을 다졌다.[6]
그러나 544년 10월, 양(梁)나라는 교주(Jiaozhou)를 다시 점령하고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진 박선이 이끄는 군대를 보냈다. 진 박선은 545년 봄까지 교주의 많은 지역을 유린하였고, 545년 겨울, 우기 동안 수도를 기습했다. 리 남 데의 군대는 기습을 당해 롱비엔을 버리고 서쪽으로 도망가야 했다.[7] 리(Lý)군은 지쳐갔고, 리 비 자신도 수개월 동안 황무지에 노출되어 병세가 악화되었다. 결국 548년 2월, 리 남 데는 황제의 권한을 그의 형 리 티엔 바오 와 찌에우 꽝 푹에게 넘겼다.[8]
548년 4월, 리 남 데는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은 찌에우 꽝 푹(이후 Triệu Việt Vương, 즉 찌에우 비엣 왕으로 알려짐)은 저항을 계속하여 550년에 마침내 중국 군대를 몰아냈다.[9] 비록 중국이 약 1,000년 동안 베트남을 점령했지만, 리 남 데는 북부 베트남에 약 60년의 독립을 부여한 국가를 건설했다.
리 남 데는 5세기 전 전한 말기에 왕망의 정권 탈취로 인한 혼란을 피해 도망친 중국인난민을 먼 조상으로 하는 지방 귀족 가문 출신이다.[4] 타이빈 성 롱흥현 출신으로, 리족이다. 당시 남조 양의 교주자사소자의 가혹한 통치로 민심이 이반되었고, 541년 12월 리본은 교주의 인사를 모아 거병하여 소자를 광주로 도망치게 했다. 542년 봄, 리본 등은 교주의 치소인 롱편 (현재의 박닌 성)을 점령하여 근거지로 삼았다. 그 후, 남조 양의 지배하에 있던 교주와 덕주 (현재의 베트남 북부)를 거의 제압했다.
543년 4월, 참파가 리본을 공격했지만, 부하 팜 투가 덕주에서 이를 격파했다.
544년 1월, 리본은 "남월 제"를 칭하고, 천덕으로 개원하고, 국호를 "만춘"으로 했다. '''리남제''' (Lý Nam Đếvi)라는 칭호는 여기서 유래했다.
545년 5월, 남조 양의 교주 자사 양표, 교주 사마 진패선, 정주 자사 소발 등의 군대가 리본을 격파하고 가녕성으로 후퇴시켰다. 546년 1월, 양나라 군대가 가녕성을 함락시키자, 리본은 굴료동의 소수 민족에게 도망쳤다. 9월, 리본은 2만 명을 이끌고 전철호 일대에 주둔하며 전함을 제조했지만, 진패선의 야습을 받아 패주하여 다시 굴료동으로 도망쳤다.
548년 리본이 사망하자, 형 리 티엔 바오가 잔당 2만 명을 모아 꾸우진 군에서 남조 양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덕주로 진격하여 아이주를 포위했지만, 진패선의 군대에 격파되었다.
550년, 남조 양이 후징의 난으로 혼란에 빠지자 진패선의 군대는 북상하고, 교주 인근에 군사적 공백이 생겨 전 리 왕조는 북베트남에서 세력을 회복했다. 555년 리 티엔 바오가 병사하자, 조광복과 리 불자가 북베트남을 분할 통치했다. 571년 조광복이 사망하자, 리 불자가 북베트남을 통일하여 전 리 왕조의 세력을 회복했다. 602년, 전 리 왕조는 수의 공격으로 멸망했다.
3. 1. 전 리 왕조 역대 군주
이름 | 재위 기간 |
---|---|
리 남 데 1세 | 542년–548년 |
리 티엔 바오 | 548년–555년 (찌에우꽝푹과 공동 통치) |
찌에우비엣브엉 | 548년–571년 (555년–571년 단독 통치) |
리 남 데 2세 | 571년–602년 |
4. 역사적 의의와 평가
리 본의 봉기와 반쑤언 국 건국은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독립 국가 수립 시도로서, 이후 베트남인들의 민족 의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2][3] 비록 전 리 왕조는 60년 만에 멸망했지만, 리 본이 세운 독립 국가는 베트남이 중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리 본은 양나라의 가혹한 통치에 맞서 541년에 봉기하여, 544년에는 스스로 황제에 올라 '반쑤언'(萬春, 영원한 봄)이라는 국호를 선포했다.[4][5][6][7][8][9] 이는 중국 황제와 대등한 지위를 표방한 것으로, 베트남의 자주 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리 본은 베트남 역사에서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그의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베트남인들에게 자긍심과 독립 정신을 고취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리 본을 외세에 맞서 자주독립을 쟁취한 영웅으로 높이 평가하며, 그의 정신을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Vietnam Country Map
Periplus Travel Maps
[2]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https://zh.wikisourc[...]
[3]
서적
https://books.google[...]
[4]
서적
大越史記全書
[5]
서적
The Birth of the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7]
서적
The Aggressors: Ho Chi Minh, North Vietnam, and the Communist Bloc
https://books.google[...]
Dog Ear Publishing
[8]
서적
Dictionary of Wars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9]
서적
The A to Z of Vietna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